티스토리 뷰
바보 온달과 평강 공주_달이 뜨는 강
달이 뜨는 강 주요 인물 온달과 평강 공주
우리 역사 그것도 고구려의 역사를 보면 그 시절에 어울리지 않는 사랑에 관한 이야기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인 사랑과 또 하나는 온달장군과 평강공주에 관한 이야기이다.
호동왕자와 낙랑공주는 같은 고구려 사람이 아니고 낙랑공주는 한나라 사람으로 고구려 호동왕자를 사랑해서 자명고를 찢어버리면서 조국을 배반한 내용이라면 온달과 평강공주는 고구려 공주와 평민의 사랑이야기이다.
갑자기 바보온달과 평강공주가 유명해진 것은 드라마 달이 뜨는 강 때문이다. 온달장군과 평강공주를 모티브로 한 드라마이지만 역사적인 고증을 통한 정통사극은 아니다.
바보 온달이라는 온달장군은 온(溫)씨 성의 시조이다. 온달이 서로 자기 지역 사람이라고 말하는 지자체가 있는데 한 군데는 아차산이 있는 구리시와 온달산성이 있는 단양이다.
정확히 온달장군이 최후를 맞이했다는 아차성이 온양인지 구리의 아차산인지는 불명확하지만 구리의 아차산에서도 고구려 옛 산성이 발견되었다.
결국 설화가 진실에 다가서는 순간이다. 평강공주는 고구려 평강(평원) 왕의 딸이다. 온달장군과 평강공주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에 등장한다.
삼국사기를 보면 평원왕의 딸 평강공주는 어려서부터 울기를 잘한 것 같다. 너무 울어서 평원왕이 평강공주에게 이렇게 자꾸 울면 나중에 바보온달에게 시집을 보낸다고 말했다.
울 때마다 아버지는 딸의 울음을 멈추게 하려고 한 온달에게 시집을 보내겠다는 것을 평강공주는 가슴속에 그대로 간직하고 자랐다.
당시 바보온달에 관한 이야기가 고구려에 널리 펴져 있어서 평원왕이 알정도로 이미 온달은 유명인사였다. 단지 생김새 새가 비루하고 조금 모자라 보였던 것 같다.
온달에게 시집가는 것으로 알고 자란 평강공주는 장성하고 나서 아버지인 평원왕이 다른 사람에게 시집보내려고 하자 궁을 나와서 바보온달을 찾아간다.
바보온달과 결혼을 하고 온달을 공부시키고 무술을 연마하게 해서 전쟁에 큰 공을 세웠다. 결국 평원왕은 온달을 장군으로 승진시켰다.
이러한 온달은 신라와의 전투에서 사망을 했는데 그 장소가 아차산성이다. 아차산성에 관한 설화도 온달장군과 관련되어있는데 온달장군이 아차 하는 사이에 사망하게 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해서 아차산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온달장군은 아차산성에서 죽기 전에 전쟁터로 떠나면서 평강공주에게 이번 전쟁에서 승리하지 않으면 돌아오지 않겠다고 맹세를 했다.
하지만 아차산성에서 죽음을 맞이했는데 온달의 관이 움직이려 하지 않았다. 사람들이 온달장군이 약속을 지키지 못해서 그러한 것이라고 했고 평강공주가 와서 겨우 움직였다고 한다.
평강공주와 온달장군의 이야기는 오랫동안 구전으로 전해지면서 많이 각색되고 또 살이 덧붙여져서 처음의 이야기와는 다르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동일하다.
아무리 온달장군이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어도 고대 사회에서는 신분을 뛰어 넘어서 결혼을 하는 것은 아마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대부분의 설화는 다른 정치적인 목적을 가지는데 아마 고구려 당시 필요한 시대적인 요건으로 인해 온달장군과 평강공주라는 설화가 만들어진 것 같다.
구리시에 있는 아차산 정상에서 고구려 옛 성터가 발견되어 발굴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아차산에 대한 고구려의 설화가 역사적인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단양에 동일한 지명인 온달산성이 또한 있어서 양쪽 지방에서 서로 온달이 자기 지방에 관련된 사람이라고 주장을 하는데 이 모든 것은 관광과 연관이 되어서 이다.
구리시에서는 오랫동안 온달장군 추모제를 지내기도 하고 거기에 맞추어서 시민의 날 행사도 실시한다. 고구려와 관련된 대부분의 유적은 북한 지역에 있어서 아차산에 있는 고구려 유적이 가지고 있는 희소성은 있다.
신분의 차이를 극복하고 아름다운 사랑이 결실을 맺은 바보 온달과 평강 공주의 이약기는 그 진위여부를 떠나서 우리 역사의 일부분이다.
드라마 달이 뜨는 강은 이러한 온달장군과 평강공주의 이야기를 모티브를 한 것이지 사료가 많지 않은 상태에서 정통사극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기는 힘들 것이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1970년생 운세
- 1958년 운세
- 2021년 닭띠 운세
- 2021년 운세
- 3.3퍼센트 계산
- 1945년생 운세
- 1953년 운세
- 2021년 뱀띠 운세
- 세금3.3% 계산기
- 광해군 가계도
- 1957년생 운세
- 용띠 운
- 갑자기 배가아플때
- 2021년 개띠 운세
- 1946년 운세
- 56년생 원숭이띠
- 1989년 운세
- 연산군 폐위이유
- 1982년생 운세
- 1965년 운세
- 1969년생 운세
- 44년생 원숭이띠
- 1977년 운세
- 1994년생 운세
- 태종이방원
- 2021년 용띠 운세
- 철종부인
- 철종가계도
- 광해군 폐위이유
- 2021년 닭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